생태계 기후대응 통합정보관리시스템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데이터 기반 정책 지원환경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공공 플랫폼입니다.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버튼을 클릭하면 생태계가 어떤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양
  • 생태리스크
  • 아고산대 변화

    아고산대를 비롯한 산림생태계의 변화 (E01, E02)

    아고산대를 비롯한 산림생태계의 변화

    급격한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는 식물의 분포, 생육, 번식 등에 영향을 끼칩니다. 식물의 생육 조건에 맞지 않는 지역이 점차 늘어나면서 아고산대 식물(구상나무 등)을 비롯한 온도에 민감한 종들이 쇠퇴하고 있습니다. 구상나무의 변화
  • 생태도시,꽃매미

    외래생물의 개체수 증가 및 확산 (E03)

    외래생물의 개체수 증가 및 확산

    외래생물은 본래 서식지를 벗어나 살고 있는 생물을 말합니다. 경우에 따라 자생 생물들의 생태적 지위를 위협하기도 합니다. 인간활동과 기후변화는 외래종에게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확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도시생태, 꽃매미
  • 수리부엉이, 비단벌레

    멸종위기종 및 희귀종, 보호종 감소 (E05, E07)

    멸종위기종 및 희귀종, 보호종 감소

    멸종위기종은 대부분 서식지파괴로 인해 개체수나 서식 가능한 면적이 크게 줄어 보호가 필요한 종입니다.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개체수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더 고도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수리부엉이 비단벌레
  • 꼬리치레도롱뇽, 돌산

    동 · 식물 개체수 감소 및 서식지 축소 (E05, E07)

    동 · 식물 개체수 감소 및 서식지 축소

    서식지파괴로 인한 개체수 감소에 더해,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 파편화의 가속화, 먹이사슬 붕괴 등의 위협에 처해 있습니다. 도롱뇽
  • 가뭄,기러기

    극한기상에 의한 생태계 변화 (E06, E09)

  • 담수, 갈대, 은어

    담수 생태계 변화 (E08)

    담수 생태계 변화

    담수생태계의 생물들은 이동이 제한되어 있어, 서식처의 환경에 특화하여 적응한 생물들이 많습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생긴 급격한 환경 변화에 더욱 취약할 수 있습니다. 담수, 갈대, 은어
  • 아프리카 돼지열병

    야생생물 유래 질병 증가 (E03)

    야생생물 유래 질병 증가

    기후변화는 야생생물의 분포와 계절적 특성 (이주 또는 생리화학적 변화)등에 영향을 미치며, 이와 같은 변화는 야생생물이 보유한 질병의 확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
  • 금개구리,뉴트리아

    습지 생태계 변화 (E04, E12)

    습지 생태계 변화

    습지 생태계는 생물다양성이 높고 탄소 저장고 역할을 하는, 지역 생태계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생태계 유형입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습지면적이 감소하고, 탄소 저장능력이 감소하는 등의 위협에 처해있습니다. 금개구리,뉴트리아
  • 두더지,토양

    토양 생태계 변화 (E10)

    토양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조건을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토양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며, 먹이사슬에 연관된 다른 생물들에게 그 영향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두더지,토양
  • 갯벌, 도요새

    조간대 및 하구생태계 변화 (E11, E13, E14)

  • 두더지,토양

    도서 생태계 변화 (E11, E13, E14)

    도서 생태계 변화

    수온 상승, 해수면 상승, 염분 감소, 해안 침수 및 범람, 해양 pH 감소 등이 관측되며, 이는 도서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섬, 바다사자

핵심기후 리스크

E01 / E02

아고산대를 비롯한 산림생태계의 변화

아고산대를 비롯한 산림생태계의 변화

급격한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는 식물의 분포, 생육, 번식 등에 영향을 끼칩니다. 식물의 생육 조건에 맞지 않는 지역이 점차 늘어나면서 아고산대 식물(구상나무 등)을 비롯한 온도에 민감한 종들이 쇠퇴하고 있습니다.

E03

외래생물의 개체수 증가 및 확산

외래생물의 개체수 증가 및 확산

외래생물은 본래 서식지를 벗어나 살고 있는 생물을 말합니다. 경우에 따라 자생 생물들의 생태적 지위를 위협하기도 합니다. 인간활동과 기후변화는 외래종에게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확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E03

야생생물 유래 질병 증가

야생생물 유래 질병 증가

후변화는 야생생물의 분포와 계절적 특성 (이주 또는 생리화학적 변화)등에 영향을 미치며, 이와 같은 변화는 야생생물이 보유한 질병의 확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04 / E12

습지 생태계 변화

습지 생태계 변화

습지 생태계는 생물다양성이 높고 탄소 저장고 역할을 하는, 지역 생태계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생태계 유형입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습지면적이 감소하고, 탄소 저장능력이 감소하는 등의 위협에 처해있습니다.

E10

토양 생태계 변화

토양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조건을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토양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며, 먹이사슬에 연관된 다른 생물들에게 그 영향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E11 / E13 / E14

도서 생태계 변화

도서 생태계 변화

수온 상승, 해수면 상승, 염분 감소, 해안 침수 및 범람, 해양 pH 감소 등이 관측되며, 이는 도서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E11 / E13 / E14

조간대 및 하구생태계 변화

조간대 및 하구생태계 변화

조간대나 하구역의 생태계는 조류의 먹이터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자원입니다. 수온 상승, 강우 패턴 변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하여 갯벌 등의 면적이 감소하거나 하구의 염수침입 구역이 달라지는 등의 위협에 처해있습니다.

E06 / E09

극한기상에 의한 생태계 변화

극한기상에 의한 생태계 변화

가뭄, 폭염, 폭우, 폭설, 한파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패턴이 일정하지 않아 예측하기 어려워 집니다. 이와같은 현상은 식생, 토양, 생물의 계절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E08

담수 생태계 변화

담수 생태계 변화

담수생태계의 생물들은 이동이 제한되어 있어, 서식처의 환경에 특화하여 적응한 생물들이 많습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생긴 급격한 환경 변화에 더욱 취약할 수 있습니다.

E05 /E07

동 · 식물 개체수 감소 및 서식지 축소

동 · 식물 개체수 감소 및 서식지 축소

서식지파괴로 인한 개체수 감소에 더해,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 파편화의 가속화, 먹이사슬 붕괴 등의 위협에 처해 있습니다.

E05 / E07

멸종위기종 및 희귀종, 보호종 감소

멸종위기종 및 희귀종, 보호종 감소

멸종위기종은 대부분 서식지파괴로 인해 개체수나 서식 가능한 면적이 크게 줄어 보호가 필요한 종입니다.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개체수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더 고도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