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기후대응 통합데이터의 제공 과정

생물기후자료(Bioclimatic variables)
배경 :생물종 서식지의 환경적 특성(기후, 지형, 수문 등) 분석 및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변화 예측에 필요한 생물기후자료 생산·연계
생산절차 :기상청의 기후변화 전망자료와 타 기관의 여러 환경자료를 이용하여 생물 서식지 특성 자료 생성 및 제공
자료구축 방향 :전국, 행정구역(기초 지자체), 보호지역 등 자료 활용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공간규모의 자료 생산 및 구축
※ 국립공원 영역 등 생물다양성 핵심보전 지역들의 경우 정밀 분석이 가능하도록 고해상도 생물기후자료 자체 생산 및 제공
활용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취약종 선별, 서식지 예측, 외래종 확산 지역 예측 등 기초 지자체 적응대책 및 서식지 보전계획 수립에 활용

기온(11항목)
- BIO 1연평균 기온
- BIO 2평균 일교차
- BIO 3등온성
- BIO 4기온 계절성
- BIO 5가장 따뜻한 달의 최고기온
- BIO 6가장 추운 달의 최저기온
- BIO 7연교차
- BIO 8가장 습한 분기의 평균기온
- BIO 9가장 건조한 분기의 평균기온
- BIO 10가장 따뜻한 분기의 평균기온
- BIO 11가장 추운 분기의 평균기온
강수량(8항목)
- BIO 12연평균 기온
- BIO 13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
- BIO 14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
- BIO 15강수 계절성
- BIO 16가장 습한 분기의 강수량
- BIO 17가장 건조한 분기의 강수량
- BIO 18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
- BIO 19가장 추운 분기의 강수량
일사랑 (8항목)
- BIO 20연평균일사랑
- BIO 21최대 월평균 일사랑
- BIO 22최소 월평균 일사랑
- BIO 23일사랑 계절성
- BIO 24가장 습윤한 분기의 일사랑
- BIO 25가장 건조한 분기의 일사랑
- BIO 26가장 따뜻한 분기의 일사랑
- BIO 27가장 추운 분기의 일사랑
토양수분 (8항목)
- BIO 28연평균 잠재토양수분량
- BIO 29최대 월평균 잠재초양수분량
- BIO 30최소 월평균 잠재초양수분량
- BIO 31잠재초양수분량 계절성
- BIO 32가장 습윤한 분기의 잠재토양수분량
- BIO 33가장 건조한 분기의 잠재토양수분량
- BIO 34가장 따뜻한 분기의 잠재토양수분량
- BIO 35가장 추운 분기의 잠재토양수분량